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백준
- 앱개발
- 알고리즘
- spring
- Xcode
- swagger
- node
- JavaScript
- 앱
- API
- SwiftUI
- UI
- 통신
- database
- db
- Swift
- 회원가입
- Alamofire
- 서버개발
- 개발
- IOS
- mac
- 아이폰
- Java
- post
- 백엔드
- Node.js
- java spring
- 개발자
- spring boot
- Today
- Total
목록앱 (10)
YagSill

안녕하세요 즐거운 화요일 입니다! 오늘은 Dictionary에 대해서 배워 보았는데, 한번 여러분께도 제가 이해한 내용을 알려드리고 + 제가 복습하는 시간을 가질 겁니다. 네. 딕셔너리의 기본 작성 법 입니다. 뭐 배열하고 쪼까 비슷하네유? 어쨋든 이 딕셔너리는 문자열과 정수형 으로 한 Index를 이루고 있나 보네요. 여기서 scoreDic["Jason"] 을 해보면 값은 80이 나옵니다. 후후.. 뭔가 된 것 같은 느낌 나이스 ㅋㅋ 딕셔너리도 배열과 같이 isEmpty와 count 함수를 사용해서 현재 딕셔너리가 비었는지? 비어있지 않다면 몇개가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! 값을 보면 scoreDic.isEmpty = false 가 나오겠죠? 그렇다면 scroeDic.count = 3이 나오겠네요..

안녕하세요 YagSil입니다. 날씨가 아침 저녁으로 선선해진 것 같습니다! 오늘은 Array를 배워 보았는데 한번 보시죠! 음 일단 배열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입니다. evenNumber의 배열을 생성하고. Type 은 Int로 선언을 합니다. 현재 evenNumber 의 배열에는 아무런 값이 없습니다. 여기서 한가지 알아야 할 것은 배열은 [index0, index1, index2, index3 .......] 이렇게 존재합니다. 컴퓨터는 0번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첫번째 배열의 index는 0인거죠. index라는 것은 배열의 값의 위치입니다. 예를 들어 [2, 4, 6, 8]의 값이 존재할 때 index1의 값은 = 4 가 되는 것입니다. 이렇게 index는 값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제 배열에 값을 넣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