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Swift
- Alamofire
- db
- node
- mac
- 회원가입
- 백준
- Xcode
- 통신
- 개발
- 알고리즘
- 앱개발
- 서버개발
- API
- java spring
- 개발자
- database
- 아이폰
- 백엔드
- spring
- JavaScript
- Java
- Node.js
- IOS
- UI
- spring boot
- post
- SwiftUI
- 앱
- swagger
- Today
- Total
목록Xcode (12)
YagSill

안냐세여~! YagSill 입니다! 오늘은 IOS 현상금 앱 개발 중 UITableView의 DataSource, Delegate 부분을 배워보았는데여! 한번 바로 화면으로 보시죠! 자 일단 저는 Table View와 중간에 Table View cell 을 하나 넣어 두었습니다. 저의 목적은 이거를 돌렸을 떄 몇개의 Cell을 5개를 보여줄 것이구요 그리고 클릭 시 콘솔창에 몇번째의 Cell이 선택됐는지 확인해 볼 겁니다. 일단 코드는 이렇게 작성했어요 중간에 주석으로 처리를 해두었습니다. 첫번째 함수 func tableView를 보면 section의 갯수를 물어봅니다. 저는 return값을 5로 해서 5개의 cell을 보여줄 수 있었어요. 짠...! ㅎㅎㅎ 두번째 함수는 이 cell을 정의해 둔 것입니..

안녕하세요! 오늘은 Swift 언어가 아닌 Table View를 만들어 보았습니다! 드디어 앱에 대한 UI를 만져볼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... 뭔가 열심히 한 나에게 보상을 주는 느낌이랄까요...ㅋㅋ 어쨋든!!! 이제부터 현상금 앱을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!! 일단 Story board는 IOS 11 Pro 버전으로 설정해 두었구요!! 여기에 Table View를 넣어보았습니다. 보시면 Container를 위 아래 양 옆으로 설정해 두었습니다. 왜냐하면 이거 시뮬레이터 돌렸을 때 좌,우,상,하 가 이상하게 보일 수 있으니까요! ㅎㅎㅎ 이렇게 설정해 두고 저는 Table view 위에 Table View Cell을 넣어 보았습니다! 오늘은 여기까지 했구요~ 내일은 또 어떤 UI를 그리게 될지 너무 궁금하네요..

안녕하세요 YagSill 입니다! 오늘은 Class의 상속에 대한 개념에 대해 조금 더 알아 보았는데요! 한번 코드로 알아보겠습니다! 일단 저는 StudentAthlete 이라는 "운동부학생" 이라는 class를 만들었구요, 이전에 student라는 class를 상속하고 있는 상태로 만들었습니다. minimumTrainingTime(기본적인 트레이닝 시간) 을 2시간으로 잡았구요 trainedTime(트레이닝시간) 을 현재는 0으로 설정해 두었습니다. func train() 함수는 한번 실행될 때 마다 1씩 + 되도록 함수를 만들었습니다! 그리고 난 뒤 athelete1 이라는 변수에 StudentAthelete class(운동부학생)을 넣었습니다. 1) 현재 athelete1.minimumTrainin..

안녕하세요 Yag Sill 입니다. 오늘은 상속에 대해서 배웠어요. 말 그대로 나는 뭐뭐에 상속되어있다. 라는 뜻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, 저는 person 과 student라는 class를 생성했습니다. 그리고 person에는 firstName과 lastName을 string으로 선언해 주고 안에 메소드를 넣어놨어여 My name is firstName lastName 입니다. 일단 person class는 이렇게 정의를 해두었으니 외부에서 데이터만 넣으면 짠 하고 My name is 쌸라쌸라 이렇게 나오겠죠? 근데 오늘 배운것은 "상속" 입니다. 저 아래를 보면 student도 class로 정의를 내려 주었죠?? 하지만 person과 좀 많이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grade 입니다. stude..

HI, Hello every one~~ i'm YagSill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오늘은 Class 와 Struct의 차이점을 알아볼 겁 니 다. 일단 이렇게 Struct를 정의 해 줍니다. 완전 똑같이 Class도 정의해 줄거에요. 자 이제 Struct의 firstName 과 LastName에 값을 할당해 주고 Class의 firstName 과 LastName에도 값을 할당해 줍니다. PeronStruct2에 PersonStruct1을 넣어주면 똑같겠죠? 똑같이 firstName 은 "Jason"이 되고 LastName은 "Lee"가 될 것입니다. Class도 마찬가지죠 personClass2에 personClass1을 넣어주면 똑같을 겁니다. 이제 한번 값을 변경한 후에 뽑아 보겠습니다! 저..

안녕하세요 Yag Sill 입니다. 아 그 전에 제 닉네임이 왜 YagSill 이냐면요. 예전에 제가 군대에서 사격할 때 억울하게 혼난적이 있었는데요;; 무슨 상황이었냐면 사격할 때 "약실"확인 이라는 작업을 사격 전에 합니다. 근데 그 때 멍때리다가(병장이었음;) 안하고 있었는데... 물론 해야 했던 상황이긴 하지만요.. 어쨋든 멍때리다가 약실확인 단계에서 못했어요 근데 그 때 뒤에 서 계시던 짬킹 상사가 저를 발견하고는 오자마자 욕부터 갈기시더군요; 그래서 군대에서 욕먹었던 Best 10 안에 드는 순간이라 배틀그라운드 닉네임 정할 때 갑자기 그 때 생각이 나더군요. 그래서 배그 닉네임을 YagSill로 만들고 난 후에 모든 닉네임을 YagSill로 하고있습니다 ㅋㅋ; 어쨋든 오늘은 Method에 대..

안녕하세요 YagSill 입니다. 오늘은 stored property를 가지고 값이 변화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옵저버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! 바로 보시쥬! 일단 "didSet" 과 "willSet" 이라는 옵저버는 오직 stored property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! 일단 제가 firstName을 저~~~아래에서 만약에 "Jason" -> "Jack" -> "Jay" 로 이렇게 두번 바꿨었다고 칩시다. 그러면 위의 코드를 사용해서 확인해 보면 willSet : Jason ---> Jack didSet : Jason ---> Jack willSet : Jack ---> Jay didSet : Jack ---> Jay 이렇게 바뀌게 됩니다! 다시 설명드리자면 stored property의 값을 예전에..

안녕하세요 IOS 앱 개발을 열시미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. 오늘은 프로퍼티에 대해서 배워보았는데요! 강의 선생님이 열심히 알려주시긴 했는데... 도무지 이해가 안가게 설명하네요 하하...-..-.. 어쨋든 저는 제가 이해한 방식으로 적어 보겠씁니다. 일단 이렇게 사람의 이름을 보여주는 struct를 만들었습니다. 이 struct는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죠? firstName 은 String으로 받고, LastName 또한 String으로 받습니다. 이런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는 프로퍼티를 스토어드 프로퍼티라고 합니다. 프로퍼티에는 스토어드 프로퍼티 말고도 하나 더 컴퓨티드 프로퍼티가 있는데여! 이 컴퓨티드 프로퍼티는 데이터를 가지고 계산을 하는? 음 또 뭐... 이미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뭐 다른 것을 ..